글쓰는 개발자

1인 개발자가 사업으로 성공하기 힘든 이유 본문

1인 개발자의 사업이야기

1인 개발자가 사업으로 성공하기 힘든 이유

세가사 2025. 1. 31. 08:38
반응형

개발자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 필수인력이다. 그래서 개발자로 살아가다보면 주먹구구식으로 돌아가는 회사의 시스템 안에서 홀로 독립하여 나만의 작은 서비스를 만들어 먹고사는 것을 꿈꾸게 된다.

 

하지만 유독 1인 개발로 성공한 이야기가 많지 않은데, 이는 개발자의 성향이 사업가에는 잘 맞지 않기 때문이다. 

 

개발자는 개발한 서비스가 어떻게 문제 없이 잘 돌아가는지 그리고 그를 위해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지 등 서비스의 세부적인 디테일과 기능에만 중심을 둔다면, 사업가는 수익을 창출에만 집중해야 한다.

 

이익을 창출할 서비스는 마케팅, 디자인은 물론이고, 기획과 운영까지 훌륭해야 한다. 이때 개발이란 결국 이익을 창출하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1인이 과연 하나의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것들을 모두 잘 할수 있을까? 물론 굉장히 뛰어난 몇몇이 존재하긴 하지만, 플랫폼의 도움이 없이는 기획 부터 마케팅 디자인, 나아가 회계처리 및 법절 절차 고려까지 필요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은 홀로 잘하기가 불가능에 가깝다.

 

그렇기에 1인 개발자는 위 몇가지를 포기하고 개발과 디자인, 마케팅과 기획등 몇몇 영역에 집중된 서비스를 개발하고 배포한다. 물론 초보 사업가의 서비스에 바로 반응이 올리가 없기 때문에 몇몇 개인 프로젝트의 이름으로 서비스가 중단된다.

 

물론 이중에 운좋게 바이럴을 타거나, 명확한 비전을 가지고 오랫동안 작업해서 자신의 연봉 혹은 그 이상의 성과를 올리는 소수가 있으나 이는 아주 소수일 뿐이고, 안정성 또한 현저히 떨어진다.

 

대신 개인 서비스로 돈을 벌게 되면 두가지 장점이 있다.

 

1. 회사의 기획자나 경영자에게 휘둘리지 않고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집중해서 하고 살수 있다. 직업 만족도가 높다.

2. 서비스가 일정 궤도위에 오르고 난 뒤에는 서비스의 발전 속도나 원하는 방향을 내가 정할수 있기때문에 업무시간을 내 마음대로 조정할수 있다.

 

시간적인 유연성과 내 서비스의 자유도 두가지를 얻는 대신 삶의 안정성을 포기하고 오랫동안 외로움을 견디며 스스로 동기부여를 해가는 삶을 살아야 한다.

 

따라서 1인 개발자로 살아가는 것은 무조건 좋다 나쁘다를 따지기 이전에 개인성향에 의해 선택 가능한 어려운 길 정도로 평가가 되어야 한다.

 

물론 금전적인 안정을 위해서 IT 프리랜서를 전전하며 자기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도 있지만,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주는 업무 또한 반복적인 플랫폼이나 서비스를 만들고 조금씩 변경해가면서 제공하는 자가 제품을 갖추지 못한 경우, 개발언어 및 개발환경이 내 클라이언트의 요구 조건에 종속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만약 내가 리액트를 사용한 웹 프론트 개발자이면 리액트를 사용하는 회사에 몇가지 추가 기술을 배워서 지원하고 꾸준히 해당 기술을 사용해 작업을 하면 되지만, 프리랜서로 뛰려면 프론트, 백엔드, 데이터 베이스를 다루는 기술 + 배포기술도 익혀야 하며, 그에 필요한 언어나 프레임 워크 또한 회사에서 요청하는 요구사항에 맞춰야 하기 때문에 팀을 이루어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면 개인이 프리랜서를 뛰기도 녹녹치 않다.

 

따라서 단가를 낮춰서 개발 언어와 프레임워크를 이쪽에서 정하고 개발은 잘 모르지만 간단한 기능만 가지고 사업을 시작만 해보려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혹은 랜딩페이지 (회사 소개 웹페이지) 정도만을 원하는 사업가들 대상으로 크몽 같은 플랫폼에 자신의 기술을 파는 식으로 사업하는 것이 그나마 꾸준한 수익을 만들면서도 리스크가 적은 돈을 버는 법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위 방법은 범위를 제한했다고는 하지만 결국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서 자신이 직접 작업을 해야 하기에 본인이 일을 멈추면 돈이 벌리지 않는 구조이다. 이는 병원이나 여행등 개인사정으로 업무를 멈추면 그대로 회사가 멈추어 버리기 때문에 직원을 뽑아서 이를 자동화 할수 있는 구조를 만들지 않으면 지속 가능성이 떨어지며, 최근엔 wix나 웹플로우 등 개발자가 아니어도 웹페이지를 쉽게 만들수 있는 방법이 많아 경쟁이 심화 될수 밖에 없는 영역이다.

 

그 외에도 AI를 사용할때 API 이용요금, 서버 배포를 위해 AWS 사용비용 등 서비스를 만들어 운영한다면 개인이 감당하기 힘든 금액의 지속적은 소모도 1인 개발자가 홀로 성공하기 힘든 이유에 기여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