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IT 서비스 제작과정 (22)
글쓰는 개발자
[업비트/코인] 급등종목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코인 단타 매매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디자인 최근 업비트 코인 근황을 살펴보니 갑작스레 수급이 쏠려 급등하는 종목이 전체 코인 시장 하락장이 아닌 이상 하루에 한개에서 세가지 정도 발 gran007.tistory.com OPEN API를 이용해 1분간 1퍼센트 이상 급등한 종목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했다. 테스트를 위해 1만원 단위로 급등 알림이 온 메탈과 썬더볼트를 각 1만원정도씩 구매해 보았다. 결과는 각각 다음과 같다. 급등주가 1분에 1%라는 특정 조건을 달성했다고해도 앞의 조건을 달성한 모든 종목이 급등주는 되지는 않은 것 같다. 다행이 1만원 정도의 금액으로 테스트 해보았기 때문에 손실은 크지 않다. 앞으로 해당 시스템에 가설을 추가해서 ..
코인 단타 매매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디자인 최근 업비트 코인 근황을 살펴보니 갑작스레 수급이 쏠려 급등하는 종목이 전체 코인 시장 하락장이 아닌 이상 하루에 한개에서 세가지 정도 발생하고 있으며 한번 상승하면 10-40 프로정도의 상 gran007.tistory.com 업비트 OPEN API를 사용해 코인 단타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해보자. 일단 내가 모니터링할 마켓 데이터의 코드가 필요하다. 업비트 마켓데이터는 다음 주소( https://api.upbit.com/v1/market/all )를 통해 얻어올수 있다. 마켓 정보를 얻어서 json파일로 저장해 둔다. 편의를 위해 원화로 구입가능한 코인들만을 모니터링 하고자 한다. code 앞자리가 KRW로 시작하는 데이터만 읽어온다. const m..
최근 업비트 코인 근황을 살펴보니 갑작스레 수급이 쏠려 급등하는 종목이 전체 코인 시장 하락장이 아닌 이상 하루에 한개에서 세가지 정도 발생하고 있으며 한번 상승하면 10-40 프로정도의 상승이 발생하고 있다. 업비트 OPEN API를 이용해 급등주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서 모의 투자를 통해 실제 단타가 가능한지 알아보는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고자 한다. 현재 세운 가설은 다음과 같다. 급등하는 코인은 1분봉이 1% 이상 상승하는 특징을 가진다. 해당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전체 코인의 정보를 모니터링해 1분동안의 코인가격이 1%이상 상승한 것을 찾아서 나에게 알려주는 백엔드 앱을 개발하고 몇일간 알림이 오는 코인을 모니터링해서 성공과 실패 확률을 계산해 해당 가설에 보완할 점을 개선하는 식으로 프로..
업비트 시세를 받는 방식은 두가지로 나뉘어져 있다. 1. REST API를 사용하는 방식 2.웹소켓을 이용하는 방식 1. REST API 호출방식 REST API를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할때는 따로 IP 등록이나 OPEN API 전용 키를 만드는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법도 간단한데 현재가를 알고싶은 코인의 고유코드를 markets 파라미터에 담아서 호출하면 된다. curl --url https://api.upbit.com/v1/ticker?markets=KRW-BTC 결과는 다음과 같이 실시간 코인정보를 받아온다. trading_price가 현재가이다. [ { "market":"KRW-BTC", "trade_date":"20240412", "trade_time":"135449"..
1. 프로덕트명 - 노잇올 (knowitall) 2. 요약과 배경 (Summary And Background) - 전자책 형식의 매체를 판매하는 사이트 - 지식을 판매하기를 원하는 사람들과 지식을 구매하기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지식 판매 플랫폼 3. 주요 사용자 (Target Users) - 전자 지식 판매를 원하는 20 - 50대 직장인, 자영업자들 - 다양한 지식을 구매하기 원하는 20 - 50대 직장인, 자영업자들 4. 핵심 사용자 이득 (Critical User Journeys, CUJs) - 손쉽게 전자 지식을 거래 할 수 있다. - 한번 구매한 지식은 사이트에서 지속적인 제공이 가능하다. - 썸네일을 만들어 올리는 것으로 원하는 금액에 콘텐츠 판매가 가능하다. 5. 기능 요구사항 (Functi..
서비스 개발 하려면 어떤 서비스인지를 설명하고 그것이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설명하는 기획서가 최초로 필요하다. 해당 카테고리는 기획서를 다음 형식으로 정리해 나간다. 1. 요약과 배경 (Summary And Background) : 문제가 무엇이고 왜 이것이 중요한가? 2. 주요 사용자 (Target Users) : 이 해결책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이 유저들은 왜 중요하며 이들의 불편함(pain points)을 우선순위 높여 해결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3. 핵심 사용자 이득 (Critical User Journeys, CUJs) : 문제를 해결했을 때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구체적인 솔루션보다는 사용자 니즈에 집중해서 작성하라. 4. 기능 요구사항 (Functional re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