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는 개발자
돈을 번다는 것에 대하여 본문
돈이란 무엇인가?
돈이란 사회구성원들간에 약속된 교환가치 이다.
그렇다면 돈은 어떻게 벌어야 하는 것일까?
가장 간단히 방법은 노동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금전적 보상을 받는것이다.
그렇다면 노동이란 무엇인가?
노동이란 금전을 가진사람이 금전을 바라는 사람에게서 기대하는 행동이다.
이 노동이라는 의미가 현대에서는 조금 변질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산업혁명 시대에는 자본을 가진 자본가가 존재하고 그 밑에서 소비재를 생산할 생산인력이
필요했기 때문에 그 생산인력을 노동자라 칭하고 노동자는 생산을 위해 일한 대가로 돈을 받아갔다.
하지만 최근에는 블로거, 유튜버, 트위치 스트리머 등 자신의 노동의 대가인 돈을 자본가가 아닌
직접 소비자에게 얻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과거의 노동의 대가로 벌어들이는 돈과 현재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보상으로 벌어들이는 돈에
공통점에 대해 생각해 보자.
이는 똑같이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가치를 주고 그에 대한 대가를 받는 형식이다.
그렇다면 돈의 대가로 제공하는 가치란 무엇일까?
이는 소비자가 취함으로써 기쁨을 얻는 서비스, 물건 등을 총괄한다.
현대 노동자들은 소비자의 기쁨을 대가로 돈을 번다고 할 수 있다.
과거는 자본을 가진 사람들만이 이 가치 즉 기쁨을 제공할 수 있었고 그 자본가를 위한 기쁨만을
노동자는 제공할 수 있었다.
노동자는 한명 혹은 소수의 기쁨을 위해 일했고 이는 노동의 교환가치의 제한을 의미한다.
현대에는 많은 소비자에게 기쁨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방법이 훨씬 수월하다.
하지만 이가 과거와 비교해 돈을 벌기 쉽다는 의미는 아니다.
자본가의 소비재와 크리에이터의 컨텐츠는 그 생산과 소비의 방식이 다르다.
소비재의 유통기한은 물건인 만큼 한달에서 길게는 몇년의 시간을 가진다.
하지만 컨텐츠는 그 내용이 항상 신선해야하며 중복되서는 안된다.
따라서 현대의 개인이 다수에게 기쁨을 주는 방식은 과거보다 확실히 어렵다.
반면, 그 제공방식의 채널이 다양하기 때문에 다수의 소비자에게 손 쉽게 자신의 컨텐츠 즉 기쁨을 제공할 수 있다.
내가 즐겨보는 게임 방송중 풍월량이라는 스트리머가 있다.
그 분은 항상 방송의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시청자와 소통하기 위해 노력한다.
시청자의 말에 귀기울이고 그들의 말을 들어줌으로써 시청자는 자신의 하루를 위로받는 듯한 느낌을 받고,
그가 게임하고 이야기 하는 모습을 보고 하루의 끝을 웃음으로 보상받는다.
풍월량은 그에 대한 대가로 많은 돈을 번다.
이는 많은 이에게 즐거움을 전달하기 때문이고, 그것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기 때문이다.
돈을 벌고 싶다면 많은 사람을 기쁘게 해라. 기쁨의 가치를 제공하라.
그러면 그에 대한 대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생각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작의 중요성 (0) | 2020.03.14 |
---|---|
구하라의 죽음에 대하여 (0) | 2019.11.27 |
성공의 정의 (0) | 2019.01.27 |
일에 대한 즐거움2 (0) | 2019.01.27 |
일에 대한 즐거움 (0) | 2019.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