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전체보기 (95)
글쓰는 개발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n4jG/btstRsVIzfY/qsf8dWtHwO36mSWEvIEjh1/img.jpg)
최근 원데이 북클럽에 가서 잘하는 일 좋아하는 일 어떤걸 해야 하는지에 대한 토론이 벌어졌다. 누군가는 좋아하지 않지만 잘하는 일을 하게 되면 결국 지속성이 떨어져 하던 일을 멈추기 되기 때문에 좋아하는 일을 해야한다 하였고 또 다른 누군가는 좋아하는 일만으로는 성공하기 어려우니 잘하는 일을 해야한다 주장했다. 나는 지금껏 읽었던 글중에 가장 공감이 되었던 이야기를 하였다. 축구나 농구를 하더라도 초반에는 골도 못넣고 재미가 없기때문에 잘할때까지는 재미가 없어도 꾸준히 해야하고 실력이 늘어 수비수도 제치고 골도 넣으면 더욱 더 그 종목이 재미있어져서 열중하게 된다는 말이다. 잘하는 일을 하다보면 좋아하게 되고 잘하는 일과 좋아하는 일이 일치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잘하는 일과 좋아하는 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Y4pMw/btssPwdIgAC/ilWY68HPzxNaHteszzlduK/img.png)
1. 프로덕트명 - 노잇올 (knowitall) 2. 요약과 배경 (Summary And Background) - 전자책 형식의 매체를 판매하는 사이트 - 지식을 판매하기를 원하는 사람들과 지식을 구매하기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지식 판매 플랫폼 3. 주요 사용자 (Target Users) - 전자 지식 판매를 원하는 20 - 50대 직장인, 자영업자들 - 다양한 지식을 구매하기 원하는 20 - 50대 직장인, 자영업자들 4. 핵심 사용자 이득 (Critical User Journeys, CUJs) - 손쉽게 전자 지식을 거래 할 수 있다. - 한번 구매한 지식은 사이트에서 지속적인 제공이 가능하다. - 썸네일을 만들어 올리는 것으로 원하는 금액에 콘텐츠 판매가 가능하다. 5. 기능 요구사항 (Funct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hb9i/btssSpegZnU/rZZK0HUFp4zlkHNwlYfGH0/img.png)
서비스 개발 하려면 어떤 서비스인지를 설명하고 그것이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설명하는 기획서가 최초로 필요하다. 해당 카테고리는 기획서를 다음 형식으로 정리해 나간다. 1. 요약과 배경 (Summary And Background) : 문제가 무엇이고 왜 이것이 중요한가? 2. 주요 사용자 (Target Users) : 이 해결책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이 유저들은 왜 중요하며 이들의 불편함(pain points)을 우선순위 높여 해결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3. 핵심 사용자 이득 (Critical User Journeys, CUJs) : 문제를 해결했을 때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구체적인 솔루션보다는 사용자 니즈에 집중해서 작성하라. 4. 기능 요구사항 (Functional req..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9v7G/btssDQQA44q/eWOQZKmRPmtHkbMxU3yQrK/img.jpg)
나는 사주를 볼때도 생각이 많아 잘 움직이지 않는다는 이야기에 공감할 정도로 생각이 많은 사람이다. 약속을 어기는 것을 극혐하는 극 J라서 계획은 엄청나게 세우지만 막상 어떤 작업을 할때는 굉장히 망설이고 오늘은 비가 오네 늦잠을 자서 시간이 없네 등의 핑계를 대며 운동가기를 꺼려하는 일반인이다. 회사일은 그나마 업무에 푹 빠져서 하루가 짧다 싶을 정도로 과몰입해서 일을 해대긴 했지만 이는 내가 스스로 해야지라고 마음 먹은 것이 아닌 이걸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회사내 명성과 하지 않음으로써 잃을 수 있는 상급자와의 신뢰 등의 계산에 의해 억지로 등 떠밀려서 업무를 한것일 뿐이었다. 현재처럼 특정 직장에 소속되지 않았을 때 뿐만 아니라 학교 방학때 계획만 거창하게 세워두고 하나도 지켜지지 않거나 방학끝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hMQy/btsrtdMpqnZ/DpGF60x7tIZxxACTlZmqKK/img.jpg)
유튜브를 하려고 한다. 나는 10년차 개발자다. 당연히 개발관련 유튜브를 하는게 자연스럽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개발강의 유튜브를 하는데는 몇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눈으로 보이는 결과가 없고 코드나 설명만 계속되면 재미가 없다. 둘째, 무슨일이든 하다보면 익숙해지고 요령도 생기는데 영상제작을 위해 경험를 쌓을 시간 또한 초보 유튜버들에게는 필요하다. 셋째, 대부분의 사람들은 전문기술을 궁금해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개발에 흥미가 있어 유튜브를 찾아보는 대부분이 입문자이기 때문에 대단히 기초적인 흥미를 끌만큼 재밌고 손쉬운 내용만이 인기를 끈다. 물론 기초는 대단히 중요하다. 하지만 기초부분은 대부분 재미가 없으며 또한 이를 위한 오래된 실무 경력이 필요치 않다. 따라서 뜬금없지만 디자인관련 유튜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IlC1/btsrq5IciJN/dFxRn4J3dRI7SxyQb8PyVK/img.jpg)
회사를 퇴사하고 근 6개월 혹은 그 이전부터 유튜브를 엄청나게 보고 연구해 왔다. 나 또한 유튜버가 되고 싶기에 혹은 그저 시간을 때우기 위해서 즐겨왔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 해야할 일에 대한 청사진을 그리며 다양한 성공방식과 사람들의 관점을 배우기도 했다. 그러면 나는 어떠한 유튜버가 되어야 할것인가? 최초로 생각했던 것은 IT 개발 강의 유튜버 였다. 내가 잘하는것은 가르치는것 그리고 만드는것 두가지였으니 앱을 개발하고 이를 재료로 활용하여 만드는 법에 대한 강의를 병행하면 괜찮은 수입원이 생기지 않을까 생각되었다. 하지만 한계또한 명확했는데 이를 관심있어어하는 타겟 그룹이 굉장히 협소하기 때문이다. 오늘 자청의 역행자 책을 읽으며 한번더 나를 깨운 문구가 있다. "어떤 분야에서 상위 1퍼센트가 된다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MS66Y/btsrsP5VycA/jXEAt8WbAJ3RhKfVvcAcl1/img.jpg)
과거 부터 현재까지 돈을 버는 방법이 다양하게 존재해 왔다. 무엇인가를 만들고 사고 팔고 노동력을 제공하는 등등. 하지만 이를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사람은 본인이 창조하는 가치만큼 돈을 번다. 그렇다면 가치란 무엇일까? 가장 간단한 예로 카페를 운영한다고 치면 커피를 만들어 손님에게 제공했을 때 그 커피의 맛과 이를 즐기기 위한 공간 및 시간을 대여해 주는것을 가치라고 할수있다. 하지만 똑같은 커피라 할지라도 이에대해 느끼는 가치는 사람마다 천자만별이다. 회사 미팅을 위해 이전에 이미 커피 2잔을 마신 사람은 이 커피한잔에 대해 별다른 가치를 느끼지 못할테지만 땡볕아래 걷다가 목이 바짝타서 카페에 들어와 시원한 에어컨 바람을 쐬며 커피한잔을 시킨 사람은 똑같은 커피에 대해서 더욱 큰 가치를 느낄것이다. 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Z1jq/btqXj81iF7u/6p3BfSLzyrxVxafPLF7M60/img.png)
def printall(*args): print(args) printall(1, 2.0, '3') # (1, 2.0, '3') 1. 조건식 조건문은 두 가지 상황중 하나가 사용될 때 사용된다. 그런데 두가지 값중 하나를 사용할 때는 조건식을 사용할 수 있다. if x > 0: y = math.log(x) else: y = float(x) 위와 같이 x가 0보다 크면 log를 취하고 x가 0보다 작으면 float값을 가지는 조건문을 다음과 같은 조건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y = math.log(x) if x > 0 else float(x) 2. list comprehension 리스트에 모든 값을 돌면서 같은 처리를 해주고 싶을 때 리스트 컴프리헨션을 사용한다. 예를들어 여러개의 과일 목록을 담은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