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전체보기 (95)
글쓰는 개발자
- 제플린 사용 최근에는 웹 / 앱 개발을 위해 제플린을 많이 활용하는 추세다. 제플린의 장점은 컴포넌트의 높이와 넓이, 폰트 크기 및 weight 등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속성을 클릭한번으로 바로 알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나 컬러를 코드값과 이름으로 모두 받게 되는데 개발자 또한 중복되는 컬러코드를 변수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서 컬러 코드가 잘 정의되어있으면 디자이너와 개발자간의 소통과 개발이 수월하다. 제플린을 사용해 개발할때 난감할때가 있는데 자식 컴포넌트를 감싸는 부모 컴포넌트가 Grouping 되어있으면 자식을 클릭하기 위해서 두번의 선택해야 하며, 이렇게 선택된 컴포넌트는 타 컴포넌트와의 마진이나 패딩 확인이 되지 않는다. 마진과 패딩을 쉽게 보여주기 위해 화면을 감싸야 하는 경우가 있지만 전..
최초의 웹 페이지는 html 정적 페이지* 로 시작 되었다. *정적 페이지: 동적 페이지의 반댓말로 페이지에 이미지 텍스트 등을 지정해 두고 데이터의 변경에 따른 화면 변경이 이루어 지지 않는 페이지를 말한다. HTML은 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어로 마크업 언어라는 문법을 사용해 문서를 작성하면 지정된 포멧에 맞게 이를 화면에 포매팅 해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어 한글(HWP) 파일도 이러한 마크업의 한 예인데, HTML과의 차이점은 글씨의 크기나 위치 마진 장평 등을 사용자가 UI 에디터(한글 프로그램)로 변경하면 한글에 맞는 형식으로 안녕하세요 저장이 되지만 HTML은 브라우저의 종류가 다양하고 윈도우 크기 등이 다양하고 또한 데이터가 동적으로 변화하면서 각종 이벤트(버튼..
1. 데이터베이스 생성 MySQL 계정에서 데이터를 관리할 때 가장 기본적인 작업인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삭제 방법을 알아보자. phpMyAdmin을 이용하여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해 메인 화면 상단의 데이터베이스 메뉴를 클릭한다. 새 테이터베이스 만들기에서 데이터베이스 이름과 데이터 정렬방식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 뒤 만들기를 클릭한다.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sample이 다음과 같이 생성된다. 2.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관리 2.1)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설계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테이블은 필드명 데이터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몇가지 추가 옵션들이 존재한다. 일단 회원정보 관리를 위한 user 테이블을 다음과 같이 설계해보자. 필드명 데이터형 nul..
1. 데이터 베이스 앞의 예제에서는 변수에 값을 저장하고 출력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러한 데이터는 프로그램을 종료하거나 컴퓨터 전원을 끄면 모두 사라지기 때문에 생성, 변경 된 데이터들을 어딘가에 저장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저장, 검색, 수정, 삭제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XAMPP를 설치했다면 MySQL과 phpMyAdmin이 설치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들을 사용해서 PHP와 연동해본다. 2. MySQL 서버와 phpMyAdmin 2.1) MySQL 서버 구동 MySQL 서버를 구동하기 전에 한글을 제대로 표시하도록 문자셋을 설정해야 한다. MySQL에서 문자셋을 UTF-8로 설정하려면 xampp폴더/mysql/bin 폴더에 있는 my...
1. 쿠키 쿠키(cookie)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 접속할 때 웹 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데이터이다. 웹 페이지에서는 쿠키를 확인하여 로그인이나 장바구니 상태등을 확인할 수 있다. 1.1) 쿠키 생성 setcookie(키, 값) 함수를 호출하면 쿠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쿠키는 얼마만큼 유효할지 시간도 정할 수 있다. 다음은 계속 사용가능한 cookie1 쿠키와 10초간 사용가능한 cookie2를 생성하는 코드이다. 쿠키를 생성하는 코드밖에 없기 때문에 호출해도 화면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면 앞에서 쿠키를 생성했으니 다른 페이지에서 쿠키가 잘 저장되었는지 확인해 보자. 쿠키를 불러올때는 $_COOKIE 라는 시스템 내장 배열변수에서 불러오면 된다. 쿠키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is..
1. GET 방식 다음은 GE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아래 코드는 a 태그를 사용해서 클릭한 페이지로 링크 이동을 시키는 페이지다. 페이지 url뒤에 ?로 시작하는 파라미터들이 있는데 키=값 형태로 전달되며 2개이상일경우 & 구분자로 파라미터를 추가할 수 있다. 자유게시판 목록보기 글쓰기 질문 게시판 목록보기 글쓰기 php에서는 GET 형태로 넘어온 파라미터를 $_GET["키"]로 얻어올 수 있다. 다음은 받아온 파라미터를 나란히 출력해서 게시판의 성격을 구분한다. >> |
1. HTTP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서로 소통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진행된다. ①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주소 창에 URL을 입력하거나 웹 페이지의 링크를 클릭한다. ②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이 웹 서버로 전달된다. ③ 웹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④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가 보낸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⑤ 웹 브라우저 화면에 텍스트, 글자, 동영상 등의 형태로 나타난 요청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한다. 웹 브라우저에서 웹 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은 HTTP 메서드라 불리며 크게는 GET, POST, PUT, PATCH, DELETE가 존재한다.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GET과 ..
1. 함수의 개념 PHP를 포함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함수는 그 영어의 의미인 '기능'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함수는 프로그램내에 이미 정의되어 호출해 사용할 수 있는 내장함수와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고 호출해 사용하는 사용자 정의함수로 나뉘어 진다. 함수는 function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시작하고 그 뒤에 함수명과 파라미터를 정의한다. 다음은 Hello를 출력하는 함수를 정의하고 호출해 사용한 예제이다. 2. 함수의 매개변수 함수명 오른쪽에 괄호에는 함수의 매개변수를 넣어줄 수 있으며 이 매개변수는 호출할때 받아와 함수 내부에서 사용가능하다. 3. 함수의 반환 값 함수는 또한 값을 반환할 수 있는데 반환받은 결과값을 변수에 저장해서 사용할 수 있다. 4. 내장함수 내장함수는 PHP에 이미 정의된 ..